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논문 소개
소개논문
Osimertinib in Patients with T790M-Positive Advanced Non-small Cell Lung Cancer :
Korean Subgroup Analysis from Phase II Studies. Cancer Res Treat. 2020; 52(1): 284-291 
연구소개의 배경은?
비소세포폐암 환자중 선암의 경우 약 10-40%의 환자에서는 EGFR 유전자 돌연변이가 발견되고 현재 1, 2세대 EGFR TKI가 1차 치료로 인정되고 있다. 그러나 거의 대부분의 환자는 약 10-12개월후 내성이 발현하며 이중 약 40-50%의 환자에서는 T790M 돌연변이가 나타난다. Osimertinib 은 경구용 3세대 EGFR TKI 로서 기존의 활성 EGFR 유전자 돌연변이 (exon 19 deletion, L858R) 뿐 아니라 T790M 에도 효과가 있으며 뇌전이에도 효과가 있는 약제이다.
연구의 목적은?
1세대 혹은 2세대 EGFR TKI 에 실패하고 T790M 돌연변이가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Osimertinib 80mg 의 효과와 안정성을 보기 위해 2개의 phase II 연구가 진행되었다 (AURA extension, AURA2). 이 두가지 연구에 참여한 한국인만을 대상으로 osimertinib 의 효과와 안전성을 보기위해 하위그룹 분석을 하였다.
연구 방법은?
AURA extension 과 AURA2 연구에 등록된 환자들은 EGFR TKI 에 실패하고 EGFR T790M 돌연변이가 발견된 환자를 대상으로 osimertinib 80mg 경구로 매일 병이 진행될 때까지 투약하였다. 1차 목적은 전체반응율이다.
연구 결과는?
총 66 명의 한국인 환자가 치료를 받았다. 62명의 평가 가능한 환자들 중 전체 반응율은 74% (95% confidence interval[CI], 61.5-84.5), 중앙 반응기간은 9.8 개월 (95% CI, 7.1-16.8). 전체 66명을 대상으로 (cut-off date: 2018년 5월 1일) 중앙무진행생존기간은 10.9 개월 (95% CI, 8.3-15.0) 및 중암 생존기간은 29.2 개월 (95% CI,24.8-35.7) 이었다. 8명의 뇌전이 환자중 뇌전이의 진행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. 가장 흔한 부작용으로는 피부 발진 (53%), 기침 (33%), 손톱주위염 (32%), 설사 (32%), 식욕부진 (32%) 였으며 대부분 1-2 도에 국한되었다. 이는 전 세계인을 대상으로 한 결과와 효과 및 부작용면에서 거의 같은 결과를 보여 T790M 돌연변이가 있는 한국인 환자에서 osimertinib 이 추천될 수 있다.
마지막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
EGFR 유전자 돌연변이가 많은 국내에서 이 연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저희가 거의주도적으로 이끌어 왔습니다. 좋은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약제의 허가 및 급여도 빠르게 진행되어 많은 환자들이 도움을 받게 되었습니다. 이 연구에 참여해 주신 많은 국내 연구자 분들께 감사드리고 이 연구를 통해 global 임상연구에서 한국 연구자들의 위상이 향상되었으며 앞으로 더욱 더 노력하고 정진해야겠다고 생각합니다.
CRT Issue Cancer Res Treat. 2020 Jan;52(1):284-291
Reviewed by 제 1저자 안명주(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)